아동심리 및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 지난 포스팅에서 심리학에서 가장 유명한 프로이트의 이론을 살펴보았습니다.
프로이트의 이론은 최초로 가족환경이 성격과 심리 및 정신병리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던 이론으로 심리학 발달에 큰 전환을 가져왔습니다. 프로이트 외에도 유명한 많은 심리학 이론이 발전해 왔는데 다른 이론도 살펴보며 아동심리를 이해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에 살펴볼 이론은 칼 로저스의 현상학 이론입니다.
칼 로저스( Carl Rogers)의 현상학 이론
인간은 본래 특정한 성격유형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주관적 경험으로 자신을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는 삶의 경험에 따라 각 개인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얘기하는 것이죠. 각 사람은 자신의 경험을 독특하게 구성하는 틀을 가지고 있는데 그래서 경험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독창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칼 로저스는 인간의 성장 , 자기실현을 강조하였으며 인간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접근하였습니다.
자아의 개념
칼 로저스의 기본개념의 한 가지는 자아 (self)에 대한 개념입니다. 자아란 "I" 나 "ME"의 특징을 지각하고 구성하여 "I" 또는 "ME"를 가진 다른 사람 그리고 여러 생활 측면과의 관계를 지각한 것으로 이러한 지각에 가치를 부여하여 조직적이고 일관성이 있는 개념적 형태라고 설명합니다.
로저스는 모든 인간에게는 자아실현 ( Self-actualization) 경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프로이트의 인간의 본질은 악하다 혹은 부도덕하다고 본 것과는 다른 특징을 가집니다.
칼 로저스가 제시한 주요 개념
1) 이상적인 자아 : 이상적인 자아는 인간이 소유하고 싶고 인간이 그렇게 되고 싶은 상태입니다.
2) 자아와 경험의 불일치 : 자아와 경험의 불일치( incongruence between self and experience) 란 자신에 대한 자아 개념과 무엇을 경험하는지 사이에 존재하는 불일치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은 자기 스스로를 외향적이고 매력적이고 사교적이라 생각하지만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소외감을 느끼는데 이러한 불일치가 존재할 때 인간은 긴장, 불안 , 혼동, 등을 느낍니다.
3) 심리적인 부적응 ( phychological maladjustment) : 중요한 경험을 부인하거나 왜곡할 때 나타나는데 이 부적응에 처한 사람은 자아와 경험 간의 불일치를 경험합니다.
4) 일치, 자아와 경험 간의 일치 : 이는 자아에 대한 개념과 자아가 경험하는 것이 일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5) 긍정적인 관심에 대한 욕구 : 이는 다른 사람에게 가치로운 존재로 인정받고 자존감을 얻으려는 욕구입니다.
6) 자기 인정에 대한 욕구 : 자신에게 가치를 부여하려는 욕구입니다.
7) 가치의 조건 (Condition of worth)는 자아실현 동기와 일치하지 않는 다른 사람의 가치를 취하는 데에서 생깁니다.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어떤 조건에 따라 판단, 또 그 조건에서 자신의 가치를 느꼈을 때 가치의 조건을 알게 됩니다. 결국 사람은 자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행동은 하지 않습니다.
칼 로저스의 현상학 이론과 아동기 성격발달
칼 로저스는 유아는 성장하면서 "자아개념"을 형성 하기 시작하고 이 자아개념의 상당 부분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보았습니다. 긍정적인 관심에 대한 욕구 (즉, 다른 사람이 가치를 부여하는 것)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긍정적인 괌심에 대한 욕구는 모든 인간의 보편적인 욕구인데 이 욕구를 성취하거나 또는 그렇지 못했을 때 자기 인정(self-regard)을 만들어 나가게 됩니다.
아동의 정서적이고 행동적인 문제는 아동 자신의 자아실현 동기와는 일치하지 않는 다른 사람의 가치를 내부로 투사할 때 나타나게 됩니다. 아이는 자신의 가치와 다른 부모 가치를 내부로 투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는 성은 지저분한 것이며, 춤추는 것도 나쁜 행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이 부모의 가치를 그대로 내부로 투사한 아이는 이성과 춤을 추거나 데이트하는 것을 부도덕하다고 여기거나 거절하는 것이 자신의 가치를 지키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은 그 아이를 낡은 가치를 고집하는 시대에 못 따라가는 사람으로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자신의 자아개념과 실제의 경험이 일치하지 않을 때, 본인은 긴장과 불안, 그리고 내적인 혼란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불일치에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자신의 자아개념과 상충하는 경험을 부정하거나 어떤 사람은 그 경험을 왜곡, 합리화하여 자신의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지각하기도 합니다. 만약 방어기제를 사용해서 이 불일치를 줄이지 못하면 원치 않는 불안한 감정, 우울 죄책감 수치심 등을 유발하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