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프로이드와 정신병리의 발달 육아 공부 : 프로이트와 정신병리 프로이트는 여러 가지 근원에서 정신병리의 가능성을 찾았는데 그중 하나는 자아가 직접 대처하지 못하고 억압과 같은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해결해야 하는 경험으로 오는 결과라고 하였습니다. 해결되지 않은 고통스러운 상처 외에도 무의식적인 과정이 정신병리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해결되지 않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나 일렉트라 콤플렉스 같은 것들이 나중에 불감증, 성적 역기능 악몽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입니다. 또한 부모에 대한 무의식적인 애착이나 증요 같이 해결되지 않은 내적인 갈등이 있으면 적개심, 공격성 감정 조절의 실패 같은 행동과 정선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아동의 초기단계에 발전을 하지 못하고 고착되는 것도 그 이후 성장 전반에 방.. 2022. 6. 27.
육아공부: 아동기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육아공부 : 아동기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프로이트의 심리이론 프로이트는 인간은 성적 갈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성의 개념을 발달시켰습니다. 이때 원초아가 갖는 본능 에너지는 리비도 (libido)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일차적인 성적 에너지를 말합니다. 프로이트는 성에는 신체적 사랑, 정서적 충동, 자기애,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 그리고 우정까지 포함합니다. 심리성적 발달단계(phychosex)는 성의 개념을으로 인간 성격발달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이때 단계마다 어떠한 것들이 원만하게 해결되지 못하면 갈등과 왜곡이 나타나고 특정 단계에 고착된다고 하였습니다. 고착(fixation)이란 인간의 성격이 발달해나가는 과정에서 특정 단계에 많은 부분이 정지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개인이 정신.. 2022. 6. 25.
유아기와 아동기의 심리( 프로이드의 이론) 유아기와 아동기의 심리( 프로이드의 이론) 유아기와 아동기의 심리는 어떨까? 우리는 경험으로서 그들의 속마음은 어떤 것인지 어떻게 해결해줘야 하는지 어느 정도 파악을 하고 있기도 하고 해결법 감정코칭법 등의 방법 등은 많은 매체나 교육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모르는 것이 많아 공부를 하곤 합니다. 그러면 아동 심리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게 있을까요? 그 내용은 무엇일까요? 조금 더 원론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발달을 해왔고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지 객관적인 측면에서 유아기와 아동기의 심리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험에서 나오는 실질적인 지식도 필요하지만 기본 바탕이 되는 이론적인 연구를 되돌아 살펴보면 우리 아이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심리발달의 이론들 성격이란 .. 2022. 6. 23.
신생아의 발달과 초기기능 수행 신생아의 발달과 초기 기능 수행 출생 시 신생아의 몸무게는 보통 2.4 kg ~ 4.5 kg이며 키는 45cm ~ 55cm 정도입니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몸무게나 키에서 약간은 작은 경향이 있고 많은 부모가 자신의 아이가 마치 광고에 나오는 아이처럼 귀엽거나 깜찍하지 않아서 당황하기도 합니다. 그것보다는 처음에 주름진 몸과 사시 같은 눈을 보게 됩니다. 신생아는 출생 시 외부 충격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1. 신생아는 대부분 잠자는데 시간을 보냅니다. 2. 신생아는 매우 일반화된 방법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는데 자극을 분명하기 구분할 수 없다. 그래서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어렵고 어떤 자극이 있어도 몸 전체를 움직이는 일반화된 움직임만 만들어냅니다. 신생아에게서만 보이는 몇 가지 특징적인 반응... 2022. 6. 22.